186화 차이나는 클라스<건강 경제학>

728x90
반응형

건강 경제학이란?

건강의 경제적 가치와 건강이 효율적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즉,

질병퇴치와 경제성장의 관계를 단기적, 장기적 관점에서 규명해 낸 학문인 것이다.

팬데믹 시대 아이들 미래가 위험하다?

팬데믹 시대에서 장기적인 피해를 볼 수 있는데,

여기서 생애초기가설 이 나온다.

생애초기가설이란?

- 임산부,태아기, 영유아기 등 생애초기 환경이 생애에 걸쳐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다.

생애초기 환경이 생애에 걸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1. 생애에 걸쳐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2. 생애에 걸쳐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있다.

교육 수준, 임금, 노동생산성

예를 들어보자.

1918년 10월 미국에 스페인 독감이 유행을 했었다.

스페인 독감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은 고등학교 졸업 비율이 15% 낮았다.

스페인 독감 시기에 태어난 사람들은 평균 임금5 ~ 9% 낮았다.

교육 연수가 감소하고, 살아가면서 건강의 질이 저하 되어 생산성이 낮아지므로 거기서 나타나는 결과로 보고 있다.

노동 시간 = 양적 측면

인적 자본 = 질적 측면

몸값이 올라가면 일을 적게 해도 되니까 인적자본이 올라간다.

즉, 노동으로 쓰는 시간 대비 여가로 쓰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삶의 만족감이 올라간다는 뜻이다.

인적자본

- 개인이 보유한 능력, 기술, 숙련도, 지식 등을 포괄하는 개념

노동의 질적 수준을 의미 한다.

이는 국가 경제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산이 한정되어 있다면, 효율을 따져야 하는데,

그래프와 같이 조기교육이 중요하다고 나온다.

근데, 여기서 조기교육이란?

지식 습득 위주의 인지 교육은 일부 이나,

창의성, 인성교육등 비인지 교육을 모두 포함한 말이다.

이에 실험을 해 보았다.

40년 동안 성장 과정을 추적 관찰!!!!!

그래서

국가 차원의 균형 있는 교육 투자를 강조 하고 있다.

질병, 위생환경 개선이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생활지수란(인간개발지수)?

소득, 건강 수준 등 국민의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

위 그래프는 1970년대 저소득 국가들 중 질병 퇴치 사업에 놀랑운 성공을 거둔 나라라는 뜻이다.

질병 퇴치는 생활 수준을 어떻게 발전 시켰을까??

생활수준 기본 지표 = 1인당 GDP

생활 수준의 포괄적 지표 : 성인기 신장(키) 이다.

여기서 그래프 선이 낮아지는 곳이 있는데,

이는 질병으로 인한 사망이 늘어났던 시기이다.

영유아에게 질병과 위생이 열악한 환경에 노출이 되면 성장기 영양 상태를 낮춰

성인기 신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질병 퇴치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은 단기적으로 찾아보기는 어렵다.

오랜 시간에 걸쳐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위 빈칸에 알맞은 답은 무엇일까요?

1, 스트레스

2, 미세플라스틱

3, 바이러스

4, 미세먼지

답은...4번 미세먼지이다.

국가 발전의 중요한 요소는 성장과 분배

성장에 필요한 것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이며,

분배도 역시 중요한데, 불평등 해소를 통해서 국가 경쟁력이 향상 된다는 것이다.

저소득층 영유아에 대한 지원이 불평등과 양극화를 해소하는 열쇠이자 나아가

국가 경쟁력에 밑거름이 되지 않을까..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