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 2020 조별리그 경우의 수 (D, E, F조)

728x90
반응형

유로 2020 대단원의 막이 열렸다.

24개의 팀들 유럽의 축구 축제이다.!!!!

총 6개 조별리그로 A ~ F조까지 있다. ※(피파랭킹 순위)

A조 이탈리아(7위), 터키(29위), 웨일스(17위), 스위스(13위)

B조 덴마크(10위), 벨기에(1위), 러시아(38위), 핀란드(54위)

C조 네덜란드(16위), 우크라이나(24위), 오스트리아(23위), 북마케도니아(62위)

D조 잉글랜드(4위), 체코(40위), 크로아티아(14위), 스코틀랜드(44위)

E조 스페인(6위), 스웨덴(18위), 폴란드(21위), 슬로바키아(36위)

F조 포르투갈(5위), 프랑스(2위), 독일(12위), 헝가리(37위)

우리가 유로를 좋아하는 이유....

상위 70위 안에 아니.... 거의 프리미어 리그, 분데스리가, 리그 1, 라리가, 세리에 A 등..

이런 명문 리그에 뛰는 선수들의 국가 대항전을 치르기 때문이지 않을까?

정말 가슴이 웅장해진다.!!!

리그가 거의 마무리 돼가고 있고, 내일, 모레이면 조별당 1위, 2위가 판가름 난다.


※ 항목 20: 본선 대회에서 승점 동률 시

20.01 같은 조의 둘 혹은 그 이상의 팀들이 본선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가 끝난 뒤에도 승점이 같다면, 다음과 같은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해서 그 순위를 정하도록 한다.

a. 문제의 팀들 간에 치러진 경기들에서 획득한 승점

b. 문제의 팀들 간에 치러진 경기들에서 기록된 골득실

c. 문제의 팀들 간에 치러진 경기들에서 기록된 다득점

d. a)~c)의 기준을 적용했는데도 여전히 순위가 동률이면, 순위 동률인 팀들 간에 치러진 경기로만 한정하여 a)~c)의 기준을 다시 한 번 적용해서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이 절차로도 결론이 나지 않으면, 여전히 동률인 팀들에 대해 e)~i)의 기준을 순서대로 적용한다.

e. 조별리그 모든 경기를 합산했을 때 골득실

f. 조별리그 모든 경기를 합산했을 때 다득점

g. 조별리그 모든 경기를 합산했을 때 거둔 승리 횟수

h. 페어플레이 점수. 조별리그 모든 경기를 합산했을 때 받은 카드의 수가 적어야 유리하다. 레드카드는 3점, 옐로카드는 1점, 옐로카드 누적에 의한 레드카드 역시 3점으로 계산해서 벌칙 점수가 적을수록 유리

승자승 원칙에 대해...잘 몰라서 공부를 해 왔다.

(모를수도 있지....말을 꼭...하;;; 나는 상대방이 몰랐다하면 기분나쁘게 말을 하지 말아야 겠다.)

여기서 a. 획득한 승점으로 한다는데, 승자승 원칙을 쓴다 한다.

다 그런 것은 아니고,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유로선수권대회(유로)에서 골득실차보다 승자승 원칙을 먼더 들고 나온다한다.

승자승이란 동률이 발생할 경우 해당팀들 사이의 전적을 살펴 승리한 쪽을 위로 세우는 원칙인 것이다.

전적이 무승부일 경우, 골득실까지 따지고, 이도 같으면 다득점 원칙으로...어떻게든 가려내게 된다.


현재는

A조 이탈리아 3승 (조 1위)

터키 3패

웨일스 1승 1무 1패 (조 2위)

스위스 1승 1무 1패

이탈리아, 웨일스 16강을 확정 지었다.

B조 덴마크 1승 2패 (조 2위)

벨기에 3승 (조 1위)

러시아 1승 2패

핀란드 1승 2패

오늘 경기였다.

대박 경기였다. 덴마크가 핀란드를 4:1로 잡은 것이다.

승점 동률로 승자승을 따진다.

벨기에, 덴마크 16강을 확정 지었다.

C조 네덜란드 3승 (조 1위)

우크라이나 1승 2패

오스트리아 2승 1패(조 2위)

북마케도니아 3패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16강을 확정 지었다.

D조 잉글랜드 1승 1무

체코 1승 1무

크로아티아 1무 1패

스코틀랜드 1무 1패

체코와 잉글랜드 6월 23일 04:00시

크로아티아, 스코틀랜드 6월 23일 04:00시

a) 잉글랜드가 이기면 2승 1무(조 1위)

체코는 1승 1무 1패

 

a-1) 크로아티아가 이기면 1승 1무 1패

스코틀랜드 1무 2패(조 4위)

조 1위 잉글랜드, 조 2위 체코, 크로아티아로 승자승으로 결정

a-2) 스코틀랜드가 이기면 1승 1무 1패

크로아티아 1무 2패(조 4위)

조 1위 잉글랜드, 조 2위 체코, 스코틀랜드로 승자승으로 결정

b) 체코가 이기면 2승 1무(조 1위)

잉글랜드는 1승 1무 1패

b-1) 크로아티아가 이기면 1승 1무 1패

스코틀랜드 1무 2패(조 4위)

조 1위 체코, 조 2위 잉글랜드 승자승으로 결정

b-2) 스코틀랜드가 이기면 1승 1무 1패

크로아티아 1무 2패(조 4위)

조 1위 체코, 조 2위 잉글랜드, 스코틀랜드로 승자승으로 결정인데 무승부(전적이 서로)이므로 골득실을

따져 가른다.

D조가 박 터진다.

잉글랜드와 체코 둘 중 한 팀이 이기면 조 1위, 나머진 승자승을 따져야 하고

잉글랜드가 지게되면

크로아티아 스코틀랜드는 이겨도 조3위가 된다.

꿀 잼~!!!

E조 스페인 2무

스웨덴 1승 1무

폴란드 1무 1패

슬로바키아 2패

6월 24일 01:00 경기이다.(동시에 4팀이 마지막 승부수를 던진다.)

슬로바키아 vs 스페인

스웨덴 vs 폴란드

E조도 골 때린다.

스페인은 슬로바키아를 무조건 이겨야 안정권이다.

일단 승리를 거머쥐어야 한다.

A) 스페인이 이긴다는 가정하에 (1승 2무) 조 2위

스웨덴, 폴란드 경기에서

a-1) 스웨덴이 이기면 (2승 1무) 조 1위,

폴란드 (1무 2패) 조 3위

슬로바키아 (3패), 조 4위

a-2) 스페인 승리 시, (1승 2무) 조 1위

폴란드가 이기면 스웨덴, 폴란드 둘 다 (1승 1무 1패)로 승자승으로 조 2위, 3위가 갈린다.

슬로바키아 (3패), 조 4위

B) 스페인이 무승부가 되면,(3무) 조 2위

b-1) 스웨덴이 이기면 (2승 1무) 조 1위

폴란드는 (1무 2패)로

슬로바키아 (1무 2패)로 폴란드와 슬로바키아 승자승으로 조 3,4위 갈린다.

b-2) 스페인이 무승부 (3무) 조 3위

폴란드가 이기면 (1승 1무 1패)

스웨덴과 (1승 1무 1패)로 승자승을 따져 조 1,2위로 올라간다.

슬로바키아는 (1무 2패)로 조 4위

C) 스페인이 진다면... (가정하고 싶지 않지만...) (2무 1패) 조 3위

c-1) 스웨덴이 이기면, (2승 1무) 조 1위

폴란드 (1무 2패) 조 4위

슬로바키아 (1승 2패) 조 2위

c-2) 스페인이 지면, (2무 1패) 조 4위

폴란드가 이기면, (1승 1무 1패)

스웨덴 (1승 1무 1패)

폴란드, 스웨덴은 승자승을 따져 조 1,2위를 가른다. (둘 다 올라감)

슬로바키아 (1승 2패) 조 3위

F조 포르투갈 1승 1패

프랑스 1승 1무

독일 1승 1패

헝가리 1무 1패

죽음의 조가 괜히 죽음의 조가 아니다!!!!

헝가리가 1무로 선전을 하고 있다.

(모두 다 헝가리를 깔고 시작한다 생각하겠지만....)

06월 24일 04:00 경기이다.

독일 vs 헝가리

포르투갈 vs 프랑스

A) 포르투갈이 승리 시, 2승 1패

프랑스 1승 1무 1패 (조 3위)

 

a-1) 독일이 승리 시, 2승 1패

헝가리 1무 2패 (조 4위)

이럴 경우, 포르투갈과 독일이 승자승을 따지게 되며 조 1,2위로 올라간다.

a-2) 포르투갈이 승리 시, 2승 1패 (조 1위)

프랑스 1승 1무 1패

헝가리 승리 시, 1승 1무 1패

독일 1승 2패 (조 4위)

포르투갈이 이기면 조 1위로 가고, 프랑스와 헝가리가 승자승을 따져 조 2위를 가른다.

독일이 지면, (포르투갈이 이기고) 독일은 조 4위로 떨어진다.

B) 프랑스가 승리 시, 2승 1무 (조 1위)

포르투갈 1승 2패

b-1) 독일이 승리 시, 2승 1패(조 2위)

헝가리 1무 2패

이렇게 되면, 프랑스가 조 1위, 독일이 조 2위로 올라간다.

b-2) 프랑스가 승리 시, 2승 1무 (조 1위)

포르투갈 1승 2패

헝가리 승리 시, 1승 1무 1패 (조 2위)

독일 1승 2패

프랑스 조 1위, 헝가리가 조 2위로 올라간다.

C) 포르투갈, 프랑스 무승부 시,

포르투갈 1승 1무 1패

프랑스 1승 2무(조 2위)

c-1) 독일이 승리 시, 2승 1패(조 1위)

헝가리 1무 2패

 

프랑스와 독일이 올라간다.

c-2) 포르투갈, 프랑스 무승부 시

포르투갈 1승 1무 1패

프랑스 1승 2무(조 1위)

헝가리 승리 시, 1승 1무 1패

독일 1승 2패

 

프랑스 조 1위, 포르투갈과 헝가리는 승자승을 따져 우위의 있는 팀이 조 2위로 올라간다.

 

D, E, F 조별 선수 스쿼드

D조

잉글랜드

골키퍼

딘 헨더슨(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조던 픽포드(에버튼 FC)

수비수

카일 워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존 스톤스(맨체스터 시티 FC)

해리 맥과이어(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키어런 트리피어(AT 마드리드)

벤 칠웰(첼시 FC)

리스 제임스(첼시 FC)

미드필더

조던 헨더슨(리버풀 FC)

메이슨 필립스(첼시 FC)

데클란 라이스(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칼빈 필립스(리즈 유나이티드)

주드 벨링엄(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공격수

해리 케인(토트넘 핫스퍼)

라힘 스털링(맨체스터 시티 FC)

마커스 래시포드(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제이든 산초(보루시아 도르트문트)

필 포든(맨체스터 시티)

부카요 사카(아스날 FC)

도미닉 칼버트-르윈(에버튼 FC)

크로아티아

골키퍼

도미니크 리바코비치(디나모 자그레브)

로브레 칼리니치(HNK 하이두크 스플리트)

시몬 슬루가(루턴 타운 FC)

수비수

시메 브르살리코(AT 마드리드)

보르나 바리시치(레인저스 FC)

두예 찰레타차르(올림피크 드 마르세유)

데얀 로브렌(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요시프 유라노비치(레기아 바르샤바)

도마고이 비다(베식타슈 JK)

도마고이 브라다리치(LOSC 릴)

요슈크 그바르디올(RB 라이프치히)

밀레 슈코리치(NK 오시예크)

미드필더

마테오 코바치치(첼시 FC)

루카 모드리치(레알 마드리드)

마르첼로 브로조비치(FC 인터밀란)

니콜라 블라시치(CSKA 모스크바)

마리오 파샬리치(아탈란타 BC)

밀란 바델(제노아 CFC)

루카 이바누셰츠(다나모 자그레브)

공격수

이반 페리시치(FC 인터밀란)

요시프 브레칼로(VFL 볼프스부르크)

안드레이 크라마리치(1899 호펜하임)

안테 부디미르(RCD 마요르카)

미슬라브 오르시치(다나모 자그레브)

안테 레비치(AC 밀란)

브루노 페트코비치(디나모 자그레브)

스코틀랜드

골키퍼

데이비드 마셜(더비 카운티 FC)

크레이그 고든(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존 맥러플린(레인져스 FC)

수비수

스테판 오도넬(머더웰 FC)

앤드류 로버트슨(리버풀 FC)

그랜트 헨리(노리치 시티 FC)

키어런 티어니(아스날 FC)

그렉 테일러(셀틱 FC)

데클런 갤러거(머더웰 FC)

리암 쿠퍼(리즈 유나이티드 FC)

네이선 페터슨(레인저스 FC)

잭 헨드리(KV 오스텐더)

스콧 맥케나(노팅엄 포레스트 FC)

미드필더

스콧 맥토미니(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존 맥긴(아스톤 빌라 FC)

칼럼 맥그리거(셀틱 FC)

라이언 크리스티(셀틱 FC)

존 플렉(셰필드 유나이티드 FC)

스튜어트 암스트롱(사우스햄튼 FC)

데이비드 텀불(셀틱 FC)

빌리 길모어(첼시 FC)

공격수

린든 다이크스(퀸즈 파크 레인전스 FC)

체 아담스(사우스 햄튼 FC)

케빈 니스베트(히버니언 FC)

라이언 프레이저(뉴캐슬 유나이티드 FC)

제임스 포레스트(셀틱 FC)

체코

골키퍼

토마스 바츨리크(세비야 FC)

알레시 만도우스(SK 시그마 올로모우츠)

이르지 파블렌카(SV 베르더 브레멘)

수비수

파벨 카데르자베크(1899 호펜하임)

온드르제이 첼루츠카(스파르타 프라하)

다미트 지마(SK 슬라비아 프라하)

블라디미르 쿠팔(웨스트햄 유나이티드)

토마시 칼라스(브리스톨 시티 FC)

알레스 마테유(브레시아 칼초)

얀 보릴(SK 슬라비아 프라하)

토마시 홀레시(SK 슬라비하 프라하)

야쿱 브라베츠(FC 빅토리아 플젠)

미드필더

안토닌 바라크(엘라스 베로나 FC)

블라디미르 다리다(헤르타 베를린)

루카스 마조푸스트(슬라비아 프라하)

페트르 셰프치크(슬라비아 프라하)

야쿱 얀크토(UC 삼프도리아)

토마시 소우체크(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알렉스 크랄(스파르타크 모스크바)

아담 흘로제크(AC 스파르타 프라하)

야쿱 페세크(FC 슬로반 리베레츠)

미할 사딜레크(PSV 에인트호번)

공격수

파트리크 시크(바이어 04 레버쿠젠)

토마시 페카르트(레기아 바르샤바)

미할 크르멘칙(PAOK FC)

마테이 비드라(번리 FC)

체코선수는 슬라비아 프라하 선수들이 많다.

E조

스페인

골키퍼

다비드 데 헤아(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로베르트 산체스(브라이튼 FC)

우나이 시몬(아틀레틱 빌바오)

수비수

세사르 아스필리쿠에타(첼시 FC)

디에고 요렌테(리즈 유나이티드 FC)

파우 토레스(비야레알 FC)

에릭 가르시아(맨체스터 시티)

호세 가야(발렌시아 FC)

조르디 알바(FC 바르셀로나)

에므리크 라포르트(맨체스터 시티)

미드필더

브라이스 멘데스(RC 셀타 데 비고)

마르코스 요렌테(AT 마드리드)

코케(AT 마드리드)

티아고 알칸타라(리버풀 FC)

로드리(맨체스터 시티 FC)

파비안 루이스(SSC 나폴리)

페드리(FC 바르셀로나)

공격수

알바로 모라타(유벤투스 FC)

제라르 모레노(비야레알 FC)

페란 토레스(맨체스터 시티 FC)

다니 올모(RB 라이프치히)

아다마 트라오레(울버햄튼 원더러스)

미켈 오야르사발(레알 소시에다드)

파블로 사라비아(파리 생제르망, PSG)

정말...스페인 미드필더 스쿼드는 짱짱하다...

페드리...티아고 알칸타라, 코케, 마르코스 요렌테...로드리...와우...

스웨덴

골키퍼

로빈 올센(에버턴 FC)

카를요한 욘손(FC 쾨벤하운)

K. 노르드펠트(겐츨레르비를리이 SK)

수비수

미카엘 루스티그(AIK 포트볼)

빅토르 린델뢰프(맨테스터 유나이티드)

안드레아스 그랑크비스트(헬싱보리 IF)

피에르 벵트손(바일레 BK)

루드비그 아우구스틴손(SV 베르더 브레멘)

필립 헬란데르(레인저스 FC)

에밀 크라프트(뉴캐슬 유나이티드)

폰투스 얀손(브렌트포드 FC)

마르쿠스 다니엘손(다롄 프로 축구단)

미드필더

세바스티안 라르손(AIK 포트볼)

알빈 에크달(UC 삼프도리아)

에밀 포르스베리(RB 라이프치히)

구스타프 스벤손(광저우 시티)

켄 세마(왓포드 FC)

빅토르 클라에손(FC 크라스노다르)

마티아스 스반베리(볼로냐 FC 1909)

크리스토페르 올손(FC 크라스노다르)

데얀 쿨루셰프스키(유벤투스 FC)

옌스 카유스테(FC 미트윌란)

공격수

마르쿠스 베리(FC 크라스노다르)

알렉산데르 이사크(레알 소시에다드)

로빈 콰이손(FSV 마인츠 05)

조르단 라르손(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맨유, 유벤 1명씩 있고....잘 모르겠다..

폴란드

골키퍼

보이치에흐 슈체스니(유벤투스 FC)

우카시 스코룹스키(볼로냐 FC 1909)

우카시 파비안스키(웨스트햄 유나이티드)

수비수

카밀 피야코우스키(라쿠프 체스토호바)

미할 헬리크(반슬리 FC)

파베우 다비도비츠(헬라스 베로나 FC)

얀 베드나레크(사우스햄튼 FC)

마치에이 리부스(로코모티프 모스크바)

토마시 켕지오라(FC 디나모 키예프)

카밀 글리크(베네벤토 칼초)

바르토시 베레신스키(UC 삼프도리아)

티모테우시 푸하치(레흐 포즈난)

미드필더

카츠페르 코즈워프스키(포곤 슈체친)

카롤 리네티(토리노 FC)

그제고시 크리호비아크(L. 모스크바)

마테우시 클리흐(리즈 유나이티드)

야쿠프 모더(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프셰미스와프 프와헤타(노리치 시티 FC)

P. 프랑코프스키(시카고 파이어)

피오트르 지엘린스키(SSC 나폴리)

카밀 유주비아크(더비 카운티 FC)

공격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바이에른 뮌헨)

카롤 스비데르스키(PAOK FC)

다비트 코브나츠키(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야쿠프 시비에르초크(피아스트 글리비체)

정말...진짜... 레반도프스키 밖에 모르겠다.;;;; 폴란드 미안;;;

슬로바키아

골키퍼

마르틴 두브라프카(뉴캐슬 유나이티드)

두샨 쿠치아크(레히아 그단스크)

마레크 로다크(풀럼 FC)

수비수

페테르 페카리크(헤르타 베를린)

데니스 바브로(SD 우에스카)

마르틴 발리옌트(RCD 마요르카)

루보미르 샤트카(레흐 포즈난)

밀란 슈크리니아르(FC 인터 밀란)

토마시 후보찬(AC 오모니아)

데이비드 한츠코(AC 스파르타 프라하)

마르틴 코시첼니크(FC 슬로반 리베레츠)

미드필더

얀 그레구쉬(미네소타 유나이티드)

블라디미르 바이스(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온드레이 두다(FC 쾰른)

토마스 수슬로프(FC 흐로닝언)

라슬로 베네스(FC 아우크스부르크)

파트리크 흐로초프스키(KRC 헹크)

마렉 함식(IFK 예테보리)

루카스 하라슬린(US 사수올로 칼초)

유라이 쿠츠카(파르마 칼초 1913)

스타니슬라프 로보트카(SSC 나폴리)

야쿠프 흐로마다(FC 슬로반 리베레츠)

공격수

로베르트 보제닉(폐예노르트 로테르담)

로베르트 마크(페렌츠바로시 TC)

미할 두리스(AC 오모니아)

이반 슈란츠(FK 야블로네츠)

슬로바키아는 하나도 모르겠다.;;;

F조

포르투갈이 무섭다.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는 여전히 건재하고, 브루노 페르난데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베르나르두 실바(맨체스터 시티), 디오구 조타(리버풀 FC), 주앙 펠릭스(AT 마드리드) 등..

쟁쟁한 선수들이 포진되어 있다.

골키퍼

후이 파트리시우(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앙토니 로페스(올림피크 리옹)

후이 실바(그라나다 CF)

수비수

넬송 세메두(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주앙 칸셀루(맨체스터 시티 FC)

후뱅 디아스(맨체스터 시티 FC)

페페(FC 포르투)

하파엘 게레이루(보루시아 도르트문트)

주제 폰트(LOSC 릴)

누누 멘데스(스포리팅 CP)

미드필더

주앙 무티뉴(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다닐루 페레이라(파리 생제르맹 FC, PSG)

브루노 페르난데스(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베르나르두 실바(맨체스터 시티 FC)

윌리암 카르발류(레알 베티스)

헤나투 산체스(LOSC 릴)

후벵 네베스(울버햄튼 윈더러스 FC)

세르지우 올리베이라(FC 포르투)

주앙 팔리냐(스포르팅 CP)

공격수

크리스티아누 호나우두(유벤투스 FC)

곤살루 게데스(발렌시아 FC)

주앙 팰릭스(AT 마드리드)

디아구 조타(리버풀 FC)

안드레 실바(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하파 실바(SL 벤피카)

페드루 곤살베스(스로프팅 CP)

스코어도 헝가리를 0:3, 독일을 졌지만, 2:4로 정말 재밌는 경기를 보여줬다.!!!

프랑스....

말이 필요 없다. 선수 스쿼드를 보면... 말이 안 나온다.

골키퍼

1. 위고 요리스(토트넘 훗스퍼 FC)

30. 스티브 만단다(올림피크 드 마르세유)

23. 마이크 메냥(LOSC 릴)

수비수

2. 뱅자맹 파바르(FC 바이에른 뮌헨)

4. 라파엘 바란(레알마드리드)

15. 퀴르트 주마(첼시 FC)

5. 클레망 랑글레(FC 바르셀로나)

21. 루카스 에르난데스(FC 바이에른 뮌헨)

3. 프레스넬 킴펨베(파리 생제르망 FC)

18. 뤼카 디뉴(에버턴 FC)

24. 레오 뒤부아(올림피크 리옹)

25. 쥘 쿤데(세비야 FC)

미드필더

6. 폴 포그바(맨체스터 유나이티드)

12. 코랑탱 톨리소(FC 바이에른 뮌헨)

8. 토마 르마(AT 마드리드)

13. 은골로 캉테(첼시 FC)

14. 아드리앙 라비오(유벤투스 FC)

17. 무사 시스코(토트넘 핫스퍼)

공격수

7. 앙투안 그리즈만(FC 바르셀로나)

9. 올리비에 지루(첼시 FC)

10. 킬리안 음바페(PSG)

11. 우스만 뎀벨레(FC 바르셀로나)

19. 카림 벤제마(레알마드리드)

20. 킹슬리 코망(FC 바이에른 뮌헨)

22. 위삼 벤예데르(AS 모나코)

26. 마르쿠스 튀랑(보루시아 뮌헨글라드바흐)

미쳤다....

독일

(전차군단...)

골키퍼

1. 마누엘 노이어(FC 바이에른 뮌헨)

12. 베른트 레노(아스날 FC)

22. 케빈 트라프(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수비수

2. 안토니오 뤼디거(첼시)

15. 니클라스 쥘레(FC 바이에른 뮌헨)

5. 마츠 훔멜스(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6. 루카스 클로스터만(RB 라이프치히)

3. 마르셀 할스텐베르크(RB 라이프치히)

4. 마티아스 긴터(묀헨글라트바흐)

20. 로빈 고젠스(아탈란타 BC)

24. 로빈 코흐(리즈 유나이티드 FC)

26. 크리스티안 귄터(SC 프라이부르크)

미드필더

8. 토니 크로스(레알 마드리드)

6. 요주아 키미히(FC 바이에른 뮌헨)

21. 일카이 귄도안(맨체스터 시티 FC)

18. 레온 고레츠카(FC 바이에른 뮌헨)

7. 카이 하베르츠(첼시 FC)

14. 자말 무시알라(FC 바이에른 뮌헨)

17. 플로리안 노이하우스(묀헨글라트바흐)

23. 엠레 잔(보루시아 도르트문트)

공격수

19. 리로이 자네(르로이 사네)(FC 바이에른 뮌헨)

25. 토마스 뮐러(FC 바이에른 뮌헨)

11. 티모 베르너(첼시 FC)

10. 세르주 그나브리(세르쥬 나브리)(FC 바이에른 뮌헨)

9. 케빈 폴란트(AS 모나코)

13. 요나스 호프만(보루시아 뮌헨글라트바흐)

독일은 역시 대부분을 분데스리가 선수 스쿼드를 짰다.

수비수는 보니까. 프랑스에 좀 뺏긴 것 같기도 하고.... 미드필더, 공격수는 바이에른 뮌헨 출신들이 대부분이다.

선수들 이름 하나하나, 키보드의 자판을 입력할 때마다 대단하다를 느꼈다..

이 중 5명만 대한민국에 있다면.... (망상이다...)

헝가리

골키퍼

굴라치 페테르(RB 라이프치히)

디부스 데네시(페렌츠바로시 TC)

보그단 아담(페렌츠바로시 TC)

수비수

렁 아담(AC 오모니아)

케치케시 아코시(FC 루가노)

설러이 아틸러(페네르바흐체 SK)

피올러 어틸러(MOL 페헤르바르 FC)

오르반 빌리(RB 라이프치히)

네고 로익(MOL 페헤르바르 FC)

로브렌치치 게르괴(페렌츠바로시 TC)

보트커 엔드레(페렌츠바로시 TC)

볼러 벤데구즈(MOL 페헤르바르 FC)

미드필더

너지 아담(브리스톨 시티 FC)

체리 터마시(메죄괴베드스 SE)

셰페르 안드라시(두나이스카 스트레다)

클레인헤이슬레르 라슬로(NK 오시예크)

거즈더그 다니엘(필라델피아 유니언)

버르거 롤런드(MTK 부다페스트 FC)

시게르 다비드(페렌츠바로시 FC)

버르거 케빈(사므파샤 SK)

공격수

설러이 아담(FSV 마인츠 05)

홀렌데르 필리프(FK 파르티잔)

셜러이 롤런드(SC 프라이부르크)

니콜리치 네마녀(MOL 페헤르바르 FC)

쇤 서볼치(FC 댈러스)

헌 야노시(퍽시 FC)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