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에필로그 세상은 나아질 수 있을까? 시장은 현재 상태를 강화하려는 경향이 농후하다. 자유 시장은 각국이 이미 잘 하고 있는 것에 충실한 것을 지시한다. 이는 단도직입적으로 말해 가난한 나라들에게 현재 하고 있는 생산성이 낮은 활동을 계속하라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그런 생산성 낮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이 바로 이 나라들이 가난한 원인이다. 만일 가난해서 벗어나기를 원한다면 이 나라들은 시장에 대항하여 더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보다 어려운 일을 해야 한다. 가난에서 벗어나려면 그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업'에 투자해야 한다. 스위스,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공업화된 나라들이다. 스위스는 비밀은행, 뻐꾸기시계 따위의 관광객에 의지해 먹고사는 나라가 아니고, 싱가포르..
게으른 일본인과 도둑질 잘하는 독일인 경제 발전에 유리한 민족성이 있는가? 문화는 경제 발전에 영향을 미치지만, 경제 발전은 문화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일본은 1915년 '실없고, 미래에 대한 걱정이 없으며, 주로 오늘을 위해서 살아가는' 특징을 가진 '태평하고' '감정을 잘 주체 못 하는' 일본인들의 문화를 가진 민족이라고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의 한 경영 컨설턴트가 말했다. 독일인은 능률적이지도 않고 나태했으며, 똑똑하기보다 어리석고, 이성적이라기보다는 감정적이며, 준법정신이 투철하기보다는 부정직하고 도둑질을 잘했고, 자제심이 강하기보다는 태평했다. 이 두 나라는 이렇게 '나쁜' 문화를 가지고 있었는데 어떻게 부자가 되었을까? 이들은 '대대로 내려오는 민족적 습관' 때문이었을까?? 문화적 차이 ..
자이레 대 인도네시아 부패하고 비민주적인 나라에는 등을 돌려야 하는가? 자이레 : (지금은 콩고 민주공화국인) 자이레는 1961년에 연간 1인당 소득 67달러의 극빈국이었다. 모부투 세세 세코는 1965년에 군사 쿠데타로 집권하여 1997년까지 통치하였다. 그는 32년 동안 자이레를 주무르면서 50억 달러를 축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는 (11억 달러였던) 1961년 국민소득의 4.5배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는 1961년에 연간 1인당 소득이 49달러에 불과한, 자이레보다 훨씬 가난한 나라였다. 1966년에 모하메드 수하르토가 군사 쿠데타로 집권하여 1998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32년 동안 150억 달러를 축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일부에서는 그 금액이 350억 ..
미션 임파서블? 재정 건전성의 한계 미션 임파서블 3편을 본 사람이라면 대부분 중국 경제 기적의 중심지인 상하이의 현란한 모습에 깊은 인상을 받았을 것이다. (지금 현재 미션 임파서블은 총 6편이 나왔다.) 상하이 도심의 높은 빌딩 숲과 그 허름한 동네의 대비는 불평등의 심화와 그로 인해 빚어지는 불만 등 현재 중국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상징하고 있다. IMF 약자가 나온다. 이는 Impossible Mission Force라는 이안 헌트(톰 크루즈)가 소속되어 있는 막강한 정보기관의 약자인 것이다. 현실의 IMF, 즉 국제통화기금 International Monetary Fund은 국제 금융을 이용하고자 하는 개발도상국들을 통제하는 게이트 키퍼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개발도상국들에게는 언제나 두려움..
1997년에 만난 윈도 98 아이디어의 '차용'은 잘못인가? 1997년 여름, 홍콩에 복잡한 거리에는 수십 명의 행상들이 해적판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음악 CD를 늘어놓고 팔고 있었는데, 그중에서 컴퓨터 운영 체제인 윈도 98을 팔고 있었다. 홍콩 사람들은 한국 사람들에 못지않게 해적판 복제에 능숙하다. 그렇지만 어떻게 본 제품이 나오기도 전에 복제품이 먼저 나올 수 있단 말인가? 아마도 누군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실에서 마무리 손질 중인 윈도 98의 원본을 몰래 빼내 해적판을 만든 게 틀림없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복제는 너무나 쉽다. 새로 개발되는 상품은 (한 사람의 1년 동안 작업량을 뜻하는) 인년 man - year-으로 환산할 때 수백 년에 해당하는 노력이 투입된 결과물이다. 그런데 복제는 단..
인간이 인간을 착취한다 민간기업은 좋고, 공기업은 나쁜가? 20세기의 가장 심오한 경제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존 케네스 갈브레이스는 "자본주의에서는 인간이 인간을 착취하는데, 공산주의에서는 그 반대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그의 이 말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사이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갈브레이스는 비非 좌파적 시각에서 현대 자본주의를 비판한 유명한 인물로, 그가 표현하려 했던 것은 인류 평등 사회의 건설을 약속했던 공산주의가 그 약속을 실현하지 못하는 것을 보고 많은 사람들이 느꼈던 깊은 실망감이었다. 19세기에 시작된 공산주의 운동이 내걸었던 주요 목표는 (공장과 기계 같은) '생산수단'의 사적 소유의 폐지였다. 공산주의자들은 사적 소유를 자본주의의 분배 불평등을 빚어..